이 연구에서는 제1형 당뇨병 환자 277명을 7년에서 20년 동안 추적 관찰하여 신장 부전 발생과 관련된 DNA 메틸화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연구진은 주요 임상 위험 요인과 독립적으로 신장 부전 위험과 관련된 17개의 CpG 부위를 찾아냈습니다. 이 CpG 부위의 DNA 메틸화 수준은 4.7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이전에 독립적인 코호트에서도 검증된 바 있습니다.
연구진은 이 CpG 부위의 DNA 메틸화 변화와 유전적 변이, 신장 부전 관련 단백질 및 miRNA 발현 간의 관련성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DNA 메틸화 변화가 유전적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신장 부전 관련 생물학적 지표들을 통해 신장 부전 위험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진은 이러한 DNA 메틸화 기반 예측 모델이 기존의 임상 모델보다 신장 부전 위험 예측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신장 부전 조기 진단 및 예방에 활용될 수 있는 비침습적 생체 지표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Vers une autre langue
à partir du contenu source
www.medscape.com
Idées clés tirées de
by Marilynn Lar... à www.medscape.com 05-22-2024
https://www.medscape.com/viewarticle/epigenetic-markers-may-predict-kidney-failure-risk-t1d-2024a10009ngQuestions plus approfondies